앞선 글에서 간단하게 Hyper-V를 소개했기때문에 다시한번 설치조건만 확인하고 바로 Windows 10 OS를 설치해보도록 하겠다.
라이선스 확인
Windows 10 Pro, Edu, Ent 버전 이상. 시작 -> winver로 확인.
가상화 가능 여부 확인
시작 -> cmd -> systeminfo 입력
Enable-WindowsOptionalFeature -Online -FeatureName Microsoft-Hyper-V -All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0.png)
Hyper-V 활성화
시작 -> PowerShell -> 관리자 권한 실행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1.png)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2.png)
Y를 눌러서 재부팅해주자.
Hyper-V 사용하기
다시 시작에 hyper를 치면 아래처럼 관리자가 나오는데 실행시켜주자.(언제나 관리자 실행)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3.png)
새로 vm 생성전에 iso 파일이 필요한데 이건 이전에 올려둔 포스팅을 참고해서 받도록하자.
ISO 다운이 완료되었으면 가상컴퓨터를 만들어보자.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5-1024x443.png)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6.png)
이제 가상머신의 이름과 설치 위치 지정(원하는대로)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7.png)
이제 세대 지정인데 최신 OS의 경우 대부분 2세대 이므로 2세대로 가자 자세한건 밑에 설명 참조.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8.png)
1세대와 2세대의 차이점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4-1024x750.png)
1세대 디바이스 | 2세대 교체 | 2세대 개선 |
---|---|---|
IDE 컨트롤러 | 가상 SCSI 컨트롤러 | .vhdx에서 부팅(최대 크기 64TB, 온라인 크기 조정 기능) |
IDE CD-ROM | 가상 SCSI CD-ROM | SCSI 컨트롤러당 최대 64개의 SCSI DVD 디바이스 지원 |
레거시 BIOS | UEFI 펌웨어 | 보안 부팅 |
레거시 네트워크 어댑터 | 가상 네트워크 어댑터 | IPv4 및 IPv6을 사용한 네트워크 부팅 |
플로피 컨트롤러 및 DMA 컨트롤러 | 플로피 컨트롤러 지원 안 함 | N/A |
COM 포트용 UART(범용 비동기 수신기/송신기) | 디버깅에 대한 선택적 UART | 보다 빠르고 안정적 |
i8042 키보드 컨트롤러 | 소프트웨어 기반 입력 | 에뮬레이션이 없으므로 더 적은 리소스를 사용하며, 게스트 운영 체제의 공격 취약점 감소 |
PS/2 키보드 | 소프트웨어 기반 키보드 | 에뮬레이션이 없으므로 더 적은 리소스를 사용하며, 게스트 운영 체제의 공격 취약점 감소 |
PS/2 마우스 | 소프트웨어 기반 마우스 | 에뮬레이션이 없으므로 더 적은 리소스를 사용하며, 게스트 운영 체제의 공격 취약점 감소 |
S3 비디오 | 소프트웨어 기반 비디오 | 에뮬레이션이 없으므로 더 적은 리소스를 사용하며, 게스트 운영 체제의 공격 취약점 감소 |
PCI 버스 | 더 이상 필요 없음 | N/A |
PIC(프로그램 가능 인터럽트 컨트롤러) | 더 이상 필요 없음 | N/A |
PIT(프로그램 가능 간격 타이머) | 더 이상 필요 없음 | N/A |
Super I/O 디바이스 | 더 이상 필요 없음 | N/A |
메모리 할당은 여유 남는대로 하자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399.png)
네트워킹도 디폴트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400.png)
이제 하드디스크 용량을 지정해줘야되는데 이것도 남는대로.. 지정해주자.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401.png)
OS는 미리다운받아놓은 ISO 파일 사용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402.png)
설치 설정 완료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403.png)
이제 메인에 가보면 Win10이라는 가상컴퓨터가있는데 연결 후 실행시켜주면 된다.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404.png)
시작 버튼을 누르면 일반 컴퓨터 부팅 되듯이 시작된다.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405.png)
이제 윈도우 설치 후 잘쓰면된다.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406-1024x711.png)
![](https://blog.dalso.org/wp-content/uploads/2020/03/image-407.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