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운영하시게 되면 도메인을 한개만 사용하게 되시는 경우도있고.
저처럼 개인용 + 기타 잡다한 용도로 도메인을 여러개를 사용하는 방법도있습니다.
도메인을 사용하면 가정환경의 IP와 매칭을 지속적으로 시켜줘야
도메인으로 접근했을때 정상적인 IP로 포워딩 되기때문에 DDNS로 자동 할당되게 해주는게 가장 편합니다.
DDNS는 Dynamic DNS로 호스트의 공인IP가 바뀔경우 자동으로 도메인이 그 공인 IP를 바라보도록 하는것입니다.
Google Domain 설정하기
먼저 도메인 설정에서 DDNS를 설정해 줘야하는데
구글 DNS에서는 DNS -> 종합 레코드 > 동적 DNS에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하위도메인에 @를 넣고 추가를 눌러주면 기본 최상위 도메인으로 자동 설정되며
여기서 사용자 인증 정보 보기를 눌러서 ID / PW를 기록해주세요.
서버 설정하기(ddclient)
이제 도메인을 연결할 리눅스 서버에서 해당 DDNS를 연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DNS 연결을 위해서는 ddclient라는 패키지가 필요한데
*환경에 따라 Cent OS는 yum install ddclient, Ubuntu는 apt install ddclient로 설치해주세요.
저는 사용하던게있어서.. 설치는 되지않지만 매우 쉽습니다.
설치하실때 뭐 잡다한게 나오는데 그냥 아무거나 입력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어차피 설정창을 통째로 바꿀꺼라…
ddclient.conf 수정하기
ddclient의 설정파일은 /etc/ddclient.conf 입니다.
깔끔하게 하시려면 rm -rf /etc/ddclient.conf로 지우고 만들어주셔도 됩니다.vi /etc/ddclient.conf
여러개시라면 ##주석아래 동일하게 여러개 해주시면됩니다.
daemon=300
ssl=yes
use=web
protocol=googledomains
##google DDNS설정
login=[ID]
password=[PW]
zone=[도메인]
[도메인]
login에는 아까 그 동적 DNS에 있던 사용자 이름
passwd에는 비밀번호를 넣어주시면됩니다.
그리고 service ddclient restart
로 데몬을 재시작 시켜주세요.
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통해 쿼리를 날려서 ddns를 등록해보겠습니다.
ddclient -daemon=0 -debug -verbose -noquiet
저처럼 별이상없으면 아래처럼 IP가 변경된걸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